※ 본 내용은 개인의 ' 로봇 기구 개발 기사 ' 시험 준비를 위해 NCS 학습모듈 내용을 정리한 자료입니다.

 

1. 특허 개요

① 특허 (patent)

  → 지금까지 없었던 물건 또는 방법을 최초로 발명하였을 경우 그 발명자에게 주어지는 권리

  → 출원일로부터 20년 동안 특허권자 이외의 제 3자의 실시를 배척할 수 있는 배타적인 권리

 

② 특허 출원

  (1) 발명자 및 출원인

     → 발명자가 특허를 받는 것이 원칙이나 발명자로 부터 적법하계 승계를 받은 자도 특허를 받을 수 있음.

     → 이처럼 기업도 특허를 양도 받아 특허권자가 될 수 있음.

  (2) 특허의 대상

     → 대상: 자연법칙을 이용한 기술적 사상의 창작으로서 독창적이며, 산업상 이용할 수 있는 것 ( 특허요건을 갖춘 것 )

     → 출원 전 타당성 검토 및 선행기술 존재 여부 조사로 불필요한 출원비용 절감 + 적정한 권리 확보 가능

  (3) 선출원주의

     → 동일한 발명이 2개 이상 출원되었을 때, 어느 출원인에게 권리를 부여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기준

     → 선출원 or 선발명 2가지 방법이 있으나 우리나라는 '선출원주의'를 채택하고 있음.

 

③ 특허 심사 절차

   (1) 방식 심사

     → 절차상의 흠결을 점검하는 심사 ( 서식의 필수사항 기재 여부, 기간의 준수 여부, 증명서 첨부 여부 등 )

   (2) 심사 청구

      → 심사 업무 경감을 위해 모든 출원을 심사하는 대신 출원인이 심사를 청구한 출원에 대해서만 심사하는 제도

      → [참고] 특허권을 얻기보다는 타인의 권리 획득을 막기 위한 출원 = 방어 출원 이라고 함.

   (3) 출원 공개

      → 출원 후 1년 6개월이 결과하면 그 기술 내용을 특허청이 공보의 형태로 일반인에게 공개하는 제도

   (4) 실체 심사

      → 특허 요건, 즉 산업상 이용 가능성, 신규성 및 진보성을 판단하는 심사

   (5) 특허 결정

      → 출원이 특허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, 심사관이 특허를 부여

   (6) 설정 등록과 등록 공고

      → 특허 결정이 되면 출원인은 등록료를 납부, 특허권 설정을 등록하여야 함.

   (7) 거절 결정

      → 출원인이 제출한 의견서 및 보정서에 의하여도 거절 이유가 해소되지 않을 경우 특허를 부여하지 않는다.

   (8) 거절 결정 불복 심판

      → 거절 결정을 받은 자가 특허심판원에 거절 결정이 잘못되었음을 주장, 거절 결정의 취소를 요구하는 심판 절차

   (9) 무효 심판

      → 심사관 또는 이해 관계인이 무효 사유가 있음을 이유로 그 특허권을 무효시켜 줄 것을 요구하는 심판 절차

          ( 무효사유: 특허요건, 기재불비, 모인출원 등 )

 

2. 특허 조사 및 분석

  ① 분석 범위 결정

     (1) 특허 조사 및 분석이 필요한 로봇 시스템이나 부품에 대해 정의

         → 개발하고자 하는 로봇 시스템이나 로봇 부품의 수준, 성능, 품질 등을 정량적으로 기술

     (2) 특허 조사 범위 결정

 

     (3) 기술별 핵심 키워드들을 도출 ( 핵심키워드+검색식, 3~5개 정도의 하위 기술을 결정 )

         → 핵심 키워드의 경우 로봇 엔지니어와의 협의를 통해 도출, 검색식의 경우 하기와 같은 점을 고려

 

          [검색식 고려 사항]

          가. 검색의 관점을 확실하게 + 우선순위 설정

          나. 하위 개념에서부터 시작, 상위 개념으로 검색 범위를 펼쳐가며 고려

          다. 적당한 범위의 검색식을 사용한다.

             → 너무 구체적이면 유효 특허가 검색안되고, 너무 넓게 하면 너무 많은 특허가 검색됨.

          라. 선별 중 검색식 작성 시 누락하였던 키워드 발견 시 검색식에 반영

          마. 특허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이용하여 검색

             → 실시 예가 없다면, 특허에 서술되어 있는 청구항을 이용하여 검색

  ② 유효 특허 선별

     (1) 핵심 키워드+검색식을 활용, 특허 조사 ( 범위에 해당하는 국가만 조사 )

        → 아래의 표와 같이, 문헌번호, 제목, 출원인, 요약, 대표 청구항, 대표 도면등을 정리

    (2) 유효 특허 선정 ( 조사된 결과로 부터 )

       → 검색된 모든 특허를 분석하기엔 시간적으로 불가

       → 검색된 특허 중 권리 분석, 유사도 분석, 장벽도 분석 등을 실시 유효 특허를 선정함.

           ( 유효 특허는 검색된 특허의 제목+요약을 검토하여 세부 기술명별로 선정 )

    (3) 특허 landscape 분석

       → 목적: 기술 시장 성장 단계를 파악

 

       가. 주요 시장국 연도별 특허 동향 파악

     

 

      나. 주요 시장국 내외국인 특혀 출원 현황 파악

      다. IP 포트폴리오를 이용하여 기술 시장 성장 단계를 파악

 

  ③ 핵심 특허를 대상으로 지재권 확보 가능성 분석

    → 세부 기술별로 문제시될만한 핵심 특허를 선별, 법적 상태와 대응 방안을 분석.

 

    (1) 유사도 및 IP 장벽도 분석

       → 선행 특허와 개발될 기술 간의 유사도와 차이점을 설명, 대응 방안을 제시

    (2) 주요 장벽 특허 권리 분석을 실시

       → 결과에 해당 특허를 회피할 수 있는 기술적 방법이 포함되어 있어야 함.

    (3) 지재권 분석 가능성을 평가

 

. [참고] 특허 조사 및 분석의 경우 전문적인 기술을 요구하는 분야라 전문가에게 조사 및 분석을 의뢰하는 것이 좋음

 

3. 자율안전확인신고서(KCs) 작성

자율안전확인신고(KCs)란 자율안전확인 대상 기계&기구등을 제조, 설치 하거나 주요 구조 부분을 변경하는 경우 수입하는 자가 해당제품의 안전에 관한 성능이 자율안전기준에 맞는지 확인하여 고용 노동부 장관에게 신고하는 제도.

 

자세한 사항은 하기 사이트 참고

https://onetech.co.kr/%EA%B5%AD%EB%82%B4%EC%9D%B8%EC%A6%9D/%EA%B8%B0%EA%B3%84%EB%A5%98%EC%9E%90%EC%9C%A8%EC%95%88%EC%A0%84%EC%9D%B8%EC%A6%9Dkcs/

 

자율안전확인신고(KCs)ONETECH : ONETECH

국내인증CERTIFICATION SERVICE 자율안전확인신고(KCs) 인쇄 글자크기 확대하기 원본크기로 축소하기 산업안전공단 자율안전확인신고(KCs) 소개 자율안전확인 대상 기계•기구등을 제조, 설치 하거나

onetech.co.kr

 

  ① 안전보건공단 홈페이지에서 양식 및 관련 자료 다운로드

  ② 제품의 설명서를 작성

     → 제품명, 형식, 사용 목적, 제품의 특징, 외형, 안전에 관한 사항 등을 포함

  ③ 자율안전기준을 충족함을 증명하는 서류를 작성

     → [참고]한국로봇산업진흥원에서 집필한 로봇실무개론 부록 A에 상세한 내용 기재되어 있음, 작성시 참고

※ 본 내용은 개인의 ' 로봇 기구 개발 기사 ' 시험 준비를 위해 NCS 학습모듈 내용을 정리한 자료입니다.

 

[ 1-2 작업 및 운영 환경 분석 ]

1. 로봇 응용 분야

①로봇 응용 분야

  →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산업용, 전문 서비스용, 개인용 로봇으로 분류

1. 산업용 로봇  2. 전문 서비스용 로봇 개인 서비스용 로봇
[초창기]
대량 생산 체제를 갖춘 단순 가공&조립 공정 작업에 적용

[최근]
고속 정밀화 및 지능화 기능을 갖추고 다양한 형태의 작업이 가능하게 되어 적용 범위를 확대함.
[예시]
재난 극복 로봇, 군사용&사회 안전 로봇, 활선 작업용 로봇, 건설 작업용 로봇, 의료용 로봇 등

[예시]
청소 및 경비 로봇, 여가 지원 로봇, 노약자 재활 지원 로봇, 교육용 로봇 등

 

2. 작업 및 운용 환경 분석

  ① 적용할 공정과 작업의 특성 분석 ( 1단계 )

    → 공정 분석: 대상물이 어떤 경로로 처리되었는지를 발생 순서에 따라 분류, 각 공정 조건과 함께 분석하는 것

        ( 참고. 공정 조건에는 가공 조건, 경과 조건, 이동 거리 등이 있다. )

자동차 생산 공장에서의 공정 분석의 예

    → 작업 분석: 공정을 구성하고 있는 개개의 작업에 대한 작업 방법을 분석하는 것

자동차 생산 공장에서 용정 공정의 작업 분석의 예

  ② 1단계 결과를 바탕으로 공정에서 로봇 운용에 필요한 로봇 시스템의 기능 도출 ( 2단계 )

    → 로봇 시스템은 적용 공정&작업에 따라 로봇의 형상, 가반 하중, 속도, 작업 반경 등이 결정됨.

        ( 로봇 SI 엔지니어, 공정 및 작업 분석 엔지니어 간의 무수한 협의 필요 )

    → 가장 좋은 방법은 유사한 로봇 시스템이 설치 운영되고 있는 곳을 방문해 보는 것

    → 로봇 시스템을 운용할 사용자에 대한 분석도 매우 중요

        ( 운용할 사용자는 대부분 비전공자일 경우가 많음. 비전공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로봇 시스템 개발 필요 )

※ 본 내용은 개인의 ' 로봇 기구 개발 기사 ' 시험 준비를 위해 NCS 학습모듈 내용을 정리한 자료입니다.

 

[로봇 기구 개발 기획 _ 학습모듈 목표]

  로봇 수요자의 요구 분석 및 작업 분석, 운용 환경 분석, 기술 분석, 개발 유효성 검토 등의 사전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개발 사양을 결정할 수 있다.

[ 1-1 요구 사항 파악 ]

1. 로봇 시스템 구성

① 로봇의 정의 및 분류

  . 산업용 로봇: 자동 제어되고 재프로그램 가능, 3개 이상의 축을 갖는 다목적 머니퓰레이터 ( 국재 표준화 기구. ISO )

    → [특징] 다른 일을 하기 위해서 재프로그램이 가능함.

  . 서비스 로봇: 제조 작업 제외, 인간or장비에 유용한 서비스 제공 + 반or완 자동으로 작동 로봇 ( 국제로봇연맹, IFR )

    → [특징] 자율성, 프로그램된 순서대로 움직이지 않고 상황에 반응해서 스스로 움직일 수 있음.

 

분류 산업용 로봇 서비스 로봇
전문 서비스용 로봇 개인 서비스용 로봇
정의 제품 생산 ~ 출하까지
공정 내 작업 수행
불특정 다수 서비스 제공,
전문화된 작업 수행
인간 생활 범주, 서비스 제공
인간 공생형 로봇
ex) 조선 제조용, 전자제품 제조용, 자동차 제조용 등 ex) 의료 복지, 군사, 안심 생활, 특수 환경, 물류서비스 등 ex) 가사 지원, 노인&장애인, 오락&건강, 교육 등
일본 공업 협회 분류 산업용 비산업용(개인용)
제조업용 비제조업용
IFR 분류 Industrial robot service robot
for professional use
service robot
for personal use

 

② 산업용 로봇의 분류

  . 산업 분야별 분류

   → 자동차, 조선, 전기 및 전자, 반도체&디스플레이

  . 용도별 분류

   → 조립, 핸들링, 용접, 도장, 가공용, 검사용

 

③ 로봇 시스템의 구성

  . 로봇 시스템: 로봇을 포함하여 기계, 장치 등의 조합을 통해 필요한 기능을 실현한 집합체

    → 로봇 기구부, 로봇 하드웨어, 로봇 소프트웨어로 구성

 

2. 요구 사항

① 요구 사항의 정의

   . 요구 사항: 고객&사용자의 목적 수행을 위해 기획서 상 명시된 시스템이 반드시 수행하여야 할 조건이나 능력

     → 요구 사항은 제품or시스템 설계의 기반이자, 시스템 구현의 품질을 판단 + Test Case 생성의 기준이 됨.

 

② 요구 사항 분석

  . 요구 사항 분석

    → 고객&사용자의 상충할 수 있는 다양한 요구 사항을 고려 제품에 부합하는 요구 또는 제한 사항을 결정하는 것

  . 작업 유형

    가. 수집: 요구 사항을 결정하기 위해, 개발자가 고객 및 사용자와 대화하는 작업

    나. 분석: 요구 사항이 불명확&불완전&모호&모순 되는지 결정하고, 해결하는 작업

    다. 기록: 자연 언어 문서, 유스 케이스, 사용자 스토리 또는 공정 명세서와 같은 다양한 형식으로 문서화하는 작업

 

③ 요구 사항의 종류

  . 종류 ( 4가지 )

    가. 고객 요구 사항: 시스템 목적, 환경과 제한 조건, 시스템 기대 사항 정의하는, 사실 및 가정을 서술한 것

    나. 기능적 요구 사항: 반드시 구현되어야 할 필수적 작업과 동작 정의, 구현될 기능을 정의

    다. 비기능적 요구 사항: 특정 기능보다는 전체 시스템의 동작을 평가하는 척도를 정의

    라. 성능적 요구 사항: 기능이 동작해야 하는 한계를 정의 ( ex. 자료의 양이나 질, 동작의 적시성과 민첩성 등 )

 

3. 요구 사항 추출

  . 요구 사항 수집: 고객이나 사용자가 무엇을 원하는지 결정을 내리는 작업, 여러가지 기법이 동원 된다.

    → 하기 3가지 단계의 작업이 필요

 

  ① 시스템에 대한 정보 출처 파악

     → 다양한 형태의 정보원을 활용, 어떤 정보원으로부터 어떤 정보를 파악한 것인지를 결정

        ( 활용 ex. 각종 정책 문서, 특허, 동향 분석 보고서, 시장 분석 보고서, 논문, 세미나 자료 등 )

  ② 요구 사항에 대한 정보 수집

     →  여러가지 방법을 통해 정보 수집

         ( ex. 고객or사용자의 발표를 직접 듣거나 인터뷰, 문헌or인터넷 조사, 설문지 이용 의견 취합 등 )

  ③ 요구 사항과 제한 사항의 정의

     → 요구 사항의 종류를 구분, 구체적으로 정의

         ( ex. 고객, 기능, 비기능, 성능 등 )

+ Recent posts